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git branch

(4)
[github] branch 관리하기 branch 통합하기 (Fast-forward) git에서 origin/main 에서만 issue들을 commit하다가 origin/main의 끝단에서 branch를 파게됐다. 이 branch 이름을 "visualize"라고 하자. visualize branch에서 작업하던것을 origin/main으로 다시 병합해서 origin/main 하나만 관리하고 싶을 때는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이용하면 된다. git checkout main # main 으로 HEAD 이동 git merge visualize Fast-forward 라는 결과문구와 함께 과정이 수행되는 것을 볼 수 있다. Fast-forward 란 단순히 최근 branch가 과거 branch에서 파생됐을 뿐이고 복잡한 병합과정 없이 이 둘을 하나의..
[github] 특정 branch로 push하기 push명령어 이해 git push 이 때 일반적으로 원격저장소의 이름은 기본적으로 origin이라고 저장되므로 다음과 같이 사용할 수 있다. git push origin master origin이라는 원격저장소의 master branch안으로 내 코드를 push한다.(push하기전에 내 코드는 commit되어있어야 한다.) 그런데 위 명령어를 입력해도 push가 안되는 경우가 있다. 아래의 메세지가 뜨면서 말이다. error: src refspec master does not match any. error: 레퍼런스를 'https://github.com/asw91666/metro.git'에 푸시하는데 실패했습니다 이런 경우는 왜 생기는지 모르겠지만 그냥 다음과 같이 명령어를 간소화 시키면 잘 동작한다...
[소스트리 사용법] merge(1) 서로 다른 파일을 한 저장소로 합치기 merge란 branch로 나눈 버전들을 합치는 작업이다. merge 하는 법을 알아보도록 하자. 위 사진은 master, google이라는 브랜치가 있는 상태이다(초기). google브랜치로 들어가서 google file을 하나 만들어보자. 이 google file은 master에는 없고 google브랜치에만 있는 파일이다. 커밋하면 다음과 같이 브랜치가 갈라져 나온것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제부터가 중요하다. merge개념은 어느 브랜치에서(from) 어느 브랜치로(to) 통합할지가 중요하다. google 브랜치를(from) master로(to) 병합시키고자 한다면 위와같이 한다. 1. master로 들어가서 master 탭 옆에 점이 찍혀있는 상태로 만든다. 2. google 탭 우클릭 -> ..
[소스트리 사용법] branch 초기에 다음과 같은 파일을 저장소에 올렸다고 하자. 위 사진은 초기에 저장소를 branch하기 전 모습이다. master만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위 사진처럼 왼쪽탭에 master를 더블클릭하고 위에 '브랜치'를 눌러서 브랜치를 해보자 위 사진은 apple, google, samsung 이라는 3개의 브랜치를 하고 난 후 사진이다. 위에 표시한 곳(왼쪽 탭 X)과 같이 master, samsung, google, apple 이라는 태그가 같이 붙어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각각의 태그는 브랜치를 의미한다. 왼쪽 탭에 마스터를 더블클릭하여 저장소에서 파일을 수정하여 보자. 그리고 커밋을 하면 위와 같이 master라는 태그의 위치가 달라지고 하나의 커밋이 기록된 것을 볼 수 있다. 브랜치개념을 이해하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