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git push

(2)
[github] git remote 설명, repository 생성 후 원격 저장소에 올리기 로컬 저장소를 원격저장소에 연결하는법 git remote는 원격저장소를 관리할 수 있는 명령어 입니다.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로 origin이라는 이름으로 원격 저장소 주소를 등록합니다. ------------ 23.07.13.목 수정 repository 생성 후 원격 저장소에 올리기 git remote 를 사용하는 경우 : 새로운 레포를 생성하고, 이 내용을 원격에 올리고 싶을때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외에 다른 경우도 있을듯.. 아래는 로컬에서 새로운 레포 생성 후 원격에 올리는 과정이다. 로컬에서 레포지토리를 생성 후 커밋한다. # 깃 생성 git init # 레포지토리에 파일 추가 ''' blah blah blah ''' # 커밋 gi..
[github] 특정 branch로 push하기 push명령어 이해 git push 이 때 일반적으로 원격저장소의 이름은 기본적으로 origin이라고 저장되므로 다음과 같이 사용할 수 있다. git push origin master origin이라는 원격저장소의 master branch안으로 내 코드를 push한다.(push하기전에 내 코드는 commit되어있어야 한다.) 그런데 위 명령어를 입력해도 push가 안되는 경우가 있다. 아래의 메세지가 뜨면서 말이다. error: src refspec master does not match any. error: 레퍼런스를 'https://github.com/asw91666/metro.git'에 푸시하는데 실패했습니다 이런 경우는 왜 생기는지 모르겠지만 그냥 다음과 같이 명령어를 간소화 시키면 잘 동작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