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81)
[github] git을 이용해 과거시점으로 돌아가기(checkout 이용) git을 이용해서 내가 과거에 snapshot을 찍은 시점, 즉 commit한 시점으로 돌아가는 방법을 다뤄볼 것입니다! 현재 내 HEAD위치가 어디인지 알고싶어서 다음과 같은 명령어로 내 위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git log git log명령어는 현재 내 HEAD가 어디있는지도 알려주고 내가 있는 branch에서 어떤 commit들을 수행해왔는지를 보여줍니다. 위 그림에서 내 HEAD위치는 4e545로 시작하는 곳에 있는데, 바로 전 시점인 d76af로 돌아가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git checkout d76af2270262e455337e1e98bcd40bc6fea4527a 위 명령어를 수행하면 됩니다. 결과화면은 아래와 같습니다. HEAD가 d76af22 로 와있는것을 확인할 수 있고 내 r..
[github] github 사용법/명령어 정리 git에 파일을 처음 add 해서 staging area에 올린것을 다시 내리고 싶을 때 git reset git repository 에 있는 파일을 건들여서 수정했는데(git add 안한 상황) 수정하기 전으로 돌리고 싶을 때: git checkout -- repository 유저들이 언제 파일들을 커밋했는지 내역을 확인하는 명령어 : git log + log를 그만보고싶을때는 q를 입력한다. 특정 시점의 커밋 이후로는 모두 지워버리는 명령어(비추): git reset --hard 위 명령어로 commit을 지워버렸기 때문에 원격저장소와 로컬저장소의 상태가 다르다. 이 때 git push 하면 오류가 뜨는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원격저장소와 로컬저장소의 내용이 완전 다르기 때문에 파일들의 상태가 망..
[error] 파이썬 data loader 시간지연문제 파이썬 data loader 시간지연문제는 사실 data loader안에서 생기는 문제가 아니고 파이썬 threading 문제다. File "test_dataloader.py", line 39, in _debug_h36m() File "/home/kwu/Desktop/chun/code/METRO_REAL/main/../data/Human36M/Human36M.py", line 464, in _debug for i, (inputs, targets, meta_info) in enumerate(train_loader): File "/home/kwu/anaconda3/envs/metro_real/lib/python3.7/site-packages/torch/utils/data/dataloader.py", line..
[명언] 카이스트 윤덕용 교수님의 가르침 - 생각없이 열심히 노력만 하려고 하지 말고 머리를 써라. - 네가 하는 분야에서 세계 최고가 되라. - 연구하는 것을 즐겨라 - 제품이 아닌 작품을 만들듯, 연구 활동 하나하나에 최선을 다하라. 출처 : 『몰입』 - 황농문
[논문 리뷰] End-to-end object detection with transformers 빠르게 이해하기(DETR 리뷰) Contribution 1.Transformer를 object detection에 최초로 적용 2.기존의 object detection 모델들과 달리 direct prediction이 가능하여 hand-crafted process 가 없어도 된다. 배경설명 기존의 object detection 기법들 region proposal 물체가 있을법한 영역에 bounding box를 생성하고 이후 network에서 해당 부분의 image를 분석한다. R-CNN이후 연구들에선 region proposal도 network 로 학습하는 연구를 하고있다. anchor object detection의 고질적인 문제로 1개의 grid에 여러 object가 겹쳐있을 때 해당 grid에서 여러 object를 탐지하기 어렵다는..
[세금환급] 지방세 환급 받기 절차 이 포스트는 종합소득세를 신고하시고 난 후에 참고하셔야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지방세는 종합소득세 신고를 다 하고나서 간편하게 신고할 수 있다. wetax 라는 지방세 환금 사이트에서 위와 같이 말하고 있다. 잘 따라서 들어가면 아래와 같은 창이 열린다. 화면 좌하단의 빨간박스로 신고이동 버튼을 누르면 신고할 수 있다.
[transformer] Multihead self-attention 과 multihead attention비교 요새 비전분야에서도 transformer가 많이 활용되고 있어서 관련 논문들을 읽어보는데 의문인 부분들이 있어서 정리겸 블로그에 글을 써본다. transformer의 encoder는 MHSA(multihead self-attention)만 사용하고, decoder는 MHSA, MHA 둘 다 사용한다. 그럼 여기에서 MHSA과 MHA의 차이가 뭔지 의문이 생긴다. MHSA은 입력정보 주체가 하나다. 이 하나의 정보를 가지고 비교분석을 시행하는게 MHSA의 역할이고 곧 encoder의 역할이다. 예를 들어 CNN을 거치고 나온 feature vector정보가 transformer encoder 에 들어가면 MHSA는 입력받은 feature vector들만 가지고 비교분석을 시행한다. MHA은 입력정보 주체가..
[ubuntu 명령어] 내가 보려고 정리하는 linux명령어 : vi a : 현재 커서 바로 다음에 삽입. 현재 라인 가장 마지막에 글 쓰고 싶을 때 i보다 유용. x : 커서가 위치한 곳의 글자 1개 삭제. 단어 삭제할 때 i한 다음 back space로 지우지말고 이걸로 지우는것이 유용함. dd : 커서가 위치한 곳의 한 줄 삭제 yy : 커서가 있는 Line한줄을 복사 p : 버퍼에 복사돼 있는 내용을 현재 커서 바로 아래줄에 붙여넣기 u : ctrl + z. 되돌리기. 계속 되돌리기 가능. $ : 커서를 현재 라인의 가장 뒤로 보낸다. 0(zero) : 커서를 현재 라인의 가장 앞으로 보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