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82) 썸네일형 리스트형 [ubuntu 명령어] 내가 보려고 정리하는 linux명령어 : vi a : 현재 커서 바로 다음에 삽입. 현재 라인 가장 마지막에 글 쓰고 싶을 때 i보다 유용. x : 커서가 위치한 곳의 글자 1개 삭제. 단어 삭제할 때 i한 다음 back space로 지우지말고 이걸로 지우는것이 유용함. dd : 커서가 위치한 곳의 한 줄 삭제 yy : 커서가 있는 Line한줄을 복사 p : 버퍼에 복사돼 있는 내용을 현재 커서 바로 아래줄에 붙여넣기 u : ctrl + z. 되돌리기. 계속 되돌리기 가능. $ : 커서를 현재 라인의 가장 뒤로 보낸다. 0(zero) : 커서를 현재 라인의 가장 앞으로 보낸다. [슬로싱킹] 몰입을 통한 가치관의 변화과정 슬로싱킹에서 소개하는 내용 중에 황농문 교수님께 직접 메일로 자문을 구하는 어떤 여성의 이야기가 있다. 이 여성은 황농문 교수님의 피드백을 받아 몰입을 시도하고 몇주에 걸쳐 몰입으로 인해 변화하는 가치관을 느끼게 된다. 책의 모든 내용을 소개하진 않고 간략한 정리와 내 의견을 정리하도록 한다. 1주차 : 선잠을 좋게 받아들인다. 잠이 오면 잠을 이겨내려 하지 않고 그대로 받아들이고 선잠의 긍정적인 영향을 활용한다. 2주차 : 공부하다보면 금세 집중할 수 있게되고 부정적인 감정이 생기더라도 의도적인 몰입으로 인해 금세 마인드 컨트롤을 할 수 있게되는 경지에 이름. (3~4주차는 생략돼 있음) 5주차 : 좋아하는 일과 좋아하지 않는 일의 경계가 없어지고 자기가 하는 일을 곧이 곧대로 좋아하게 됨. 물리를 공.. [슬로싱킹] 지금 하는 일에 몰입되지 않는다면 지금 자신이 하고 있는 일, 공부, 연구에 잘 집중되지 않고 몰입되지 않는다면 그 원인이 무엇일지를 생각해봐야 한다. 그건 아마도 내가 그 일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지 않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내가 대학원 과목을 공부하고 있는데, 아 이걸 왜 공부하지 어차피 학점 별로 안중요한데, 내 연구랑 별로 상관도 없네. 라는 생각을 한다면 아마도 그 공부에 몰입할 수 있는 사람은 없을것이다. 책에서는 그 일을 중요한 일인것처럼 여기라고 한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그 일이 정말로 내게 중요한 일처럼 여겨질 수 있을까? 내 생각은 이렇다. 내가 이 과목을 왜 공부해야하는지에 대해서 명확한 이유를 알아야 한다. 내가 이걸 공부하면 나중에 어떤 식으로 활용할 수 있겠다는걸 알고 또 그렇게 활용하자는 목표를 가지게 되면.. [error] RuntimeError: CUDA error: no kernel image is available for execution on the device 결론부터 말하면 GPU와 PC환경설정간 호환이 안된다는 뜻이다. 해결 방법은 아래에 흐름대로 적어놓도록 하겠다. 제목과 같은 에러메세지가 떴다. 지금 상황은 RTX3090으로 바꾸고 nvidia-driver, cuda, cudnn, anaconda, pytorch 설치 후 처음으로 러닝을 돌리는데 위와 같은 에러가 뜬 상황이다. 그 중 의도를 알 수 있는 메세지를 스샷했다. 대충 보니 파이토치 버전이 맞지 않는다는 의미인것 같았다. 일단 내 실험환경은 다음과 같다. NVIDIA-DRIVER : 460.39 CUDA : 11.2 CUDNN : 8.1.1 pytorch : 1.8.0 근데 의문인 것은 연구실 다른 분들 중에 CUDA 11.2, CUDNN 8.1.1 로 학습중인 분도 계셨고 NVIDIA-DRI.. [성찰] 자신감이란 무엇인가 자신감이란 무엇일까? 자신감은 어디에서 올까? 사람들은 막연히 자신감을 가져라! 라고 말하지만 정작 그게 무엇인가, 어디에서 오는지 나는 자신감을 가지고는 있는지, 어떨때 자신감이 있는건지에 대해서 제대로 알고있지 못한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두렵고 긴장되는 상황이 닥칠때 옆사람이 내게 "자신감을 가져!"라고 말하는게 그닥 도움이 안될것이다. 내가 생각하는 자신감이란 "상처받을 상황이 와도 괜찮아"라는 마인드를 가지는것이다. 그렇다면 자신감은 어디에서 올까? 우선 (1)앞서 말한 마인드를 가지는것과 (2)경험에서 온다고 생각한다. 왜 그렇게 생각하냐고? 예를 들어 발표도 처음하는 사람은 긴장한다. 그러나 자주, 많이하는 상황을 겪게되면 그때는 긴장하지 않게된다. 그러나 딱히 "아, 나는 자신감이 있는 상태.. [conda] conda 가상환경 삭제하기, 복사하기, 리스트 확인하기 가상환경 삭제하기 conda remove --all --name [가상환경이름] 가상환경 복사하기 conda create --name [만들 가상환경 이름] --clone [기존 가상환경 이름] 가상환경 리스트 확인하기 conda info --envs [conda] 새로운 가상환경 만들어서 requirements 실행하기 - anaconda 를 이용하여 새 가상환경을 만들고 싶을 때 사용하는 명령어 - 새로운 가상환경을 만들어서 github에서 언급하는 requirement대로 설치할 수 있는 명령어 를 정리하였습니다. # create conda environment # 아래에서 my_venv는 본인이 원하는 이름으로 자유롭게 수정할 수 있습니다. conda create --name my_venv --clone base # activate new environment conda activate my_venv # execute .sh file ./requirements.sh # 만약 requiremenst가 .txt파일 형태로 정리돼 있다면 # pip install -r requirements.txt [이메일] 연구원으로써 해외연구원에게 메일로 연구관련 질문 보낼 때 연구를 하다보면 종종 메일로 논문 내용에 대해서라던지 물어볼게 생길 수 있다. 그러나 영어에 익숙한 사람이 아니라면 자기가 예의바르게 보냈다고 생각해도 영어문화권 입장에서는 예의없게 보일 수 있다. 그렇다 나는 상당히 신경써서 보내봤지만 한번 씹힌적이 있어서 영어 잘하는 친한 후배에게 물어봤더니 살짝 건방지게 물어봤었다는 말을 들었다..ㅜ 이러한 경험에서, 이메일을 보낼 때 기분 나쁘지 않게 잘 보내려는 대학원생들이 나 말고도 있을것이라고 생각하여 메일 보낼 때 참고할 형식을 공유합니다. [질문할 때] Dear, (상대방 이름) Hello, I am a master student studying at (학교) University (랩실 이름) Laboratory in South Korea. I've re.. 이전 1 ··· 5 6 7 8 9 10 11 ··· 23 다음